본문 바로가기

생각상자

[09] 데이터베이스 접속 패턴, JDBC - Oracle, JSP 연동 ▩ 데이터베이스 접속 패턴 1. JSP ---------------------------------------> Oracle . JSP에서 처리 로직 전부 구현 . 개발이 단순하나 개발 기간 지연이 많이 발생하고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습니다. 2. JSP -----> Beans --------------------------> Oracle . 보여주는 로직을 JSP에서 구현 . Beans는 처리로직으로 1번의 개발 패턴보다는 유지보수성이 많이 우수합니다. . 개발시 beans를 설계하여 구현한후 jsp를 구현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접속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 많이 사용되는 패턴 3. JSP ------------------> Pool --------------> Oracle . JSP에서 처리 로직.. 더보기
JSP JDBC예제(Statement) 파일명 : jdbctest.jsp 이벤트 등록 등록이름 : email주소 : # 등록 목록 더보기
JAVAC, JAVA OPTION 자바 컴파일과 실행 에 사용되어지는 javac, java 명령어의 옵션 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javac - 자바컴파일러로써, 자바코드를 작성한 소스파일(.java)을 자바 가상머신이 인식할수 있는 바이트 코드(.class) 타입으로 변환시켜주는 명령어 입니다. 사용법: javac 예를들어, Hello.java, Greeting.java 두개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javac Hello.java Greeting.java javac *.java (*을 사용해서, 모든 확장자가 .java인 파일을 컴파일할수 있다.) 1) 옵션: a) -classpath: -classpath(cp) path(파일 절대 경로): 컴파일러가 컴파일 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참조할 클래스 파일들을 찾기 위해서 컴파일시 파일.. 더보기
파일 읽어서 db에 저장, db서 data 읽어와서 파일로 저장 아래는 파일에 c:\\adsl.exe 라는 파일을 저장하고, 파일을 읽어오는 것입니다. 급하게 작성하느라 exception 처리를 완전히 하지 않았습니다. java.sql 패키지에 있는 PreparedStatement 의 setBinaryStream과 getBinaryStream 을 이용하기 바랍니다. 또한, 테이블 생성시에은 long raw 타입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럼 즐거운 날 되십시요. 데이터 베이스는 oracle8.1.6 을 사용하였으며 jdbc 드라이버는 classes12.zip 을 이용하였습니다. --------------------------------------------------------------- 파일저장하기 JdbcTest.java /*-----------------------.. 더보기
StringReader & StringWriter 클래스 StringReader 클래스와 StringWriter 클래스는 문자열을 스트림에 기록하거나 읽어낼 때 사용하는 클래스입니다. 즉, 목표지점이 string형의 데이터가 되는 것입니다. StringReader 클래스와 StringWriter 클래스는 TextReader 클래스와 TextWriter 클래스를 각각 상속받았습니다. StringReader 클래스는 Read()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데이터를 StringWriter의 Write() 메서드를 이용하여 스트림에 기록하게 됩니다. 다음은 두 클래스의 상속 관계를 나타내는 클래스의 원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StringReader & StringWriter 클래스 q public class StringReader : Text.. 더보기
리눅스 스케줄러 crontab 이용하기 crontab 은 윈도우의 스케줄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CRONtab crontab -l -> 현재 crontab에 등록된 작업보기 crontab -e -> crontab 편집하기 ------------------------------------------------------------------------------------ CRONtab /etc/cron, /usr/spool/cron/crontabs/* “/etc/cron" 프로그램 은 주기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때 주기적으로 수행되어질 프로그램은 "/usr/spool/cron/crontabs" 디렉토리 밑에 각 사용자의 사용자명과 같은 이름으로 생성된다. 이 화일은 만드는 방법은 아래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더보기
linux 명령어 총집합 * 문서 1. 패스워드 관리장부 2. 서버자원관리부 3. 백업관리장부 4. 서버작업이력부 5. 서버점검이력부 * 절대로 서버를 믿어서는 안된다. 여러분 자신을 믿으셔야 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 www.redhat.com www.debian.org www.slackware.com www.linux-mandrake.com www.wowlinux.com www.alzzalinux.com www.suse.com www.haansoftlinux.com www.hancom.com www.sulinux.net * 한글 사용 # cat /etc/sysconfig/i18n LANG="ko_KR.eucKR"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eucKR:ko_KR:ko" SYSFONT=".. 더보기
Oracle Procedure를 이용하여 Mail 보내기(SMTP) 1. 개요 Oracle Procedure를 이용한 Mail 보내기(SMTP) 2. 활용분야 - MIS 내에서 본인 확인을 거친 후 암호초기화하여 본인에게 메일발송 - Monitoring 프로그램에서 필요 시 담당자에 메일발송 3. 내용 사용자들이 본인의 암호를 잊고 암호 초기화 S/R을 요청하고, 담당자들은 암호를 초기화하여 사용자에게 초기화암호를 알려주는 현 Process에서 담당자를 거치지 않고 MIS 내에서 본인인증을 거친 후 초기화한 암호를 사용자 메일계정으로 발송. 1) Oracle 8.1.6 이상에서 가능하며 2) loadjava -resolve -user system/manager $ORACLE_HOME/plsql/jlib/plsql.jar 실행 /* Oracle 9i 에서는 불필요. */ .. 더보기
PL/SQL (12) - 데이터타입 (%ROWTYPE 과 %TYPE) PL/SQL에서는 일반적으로 BOOLEAN, CHAR, VARCHAR2, DATE, NUMBER 와 같은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지만, 추가적으로 특정 TABLE이나 특정 COMLUMN과 같은 형식의 데이터타입을 사용할 수도 있다. - 특정 TABLE의 ROW와 동일한 테이터타입 : table%ROWTYPE - 특정 COLUMN과 동일한 데이터타입 : table.comlumn%TYPE 1. %ROWTYPE -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란 데이터를 담는 임시 그릇이다. 데이터타입을 지정한다는 것은 그릇의 크기를 메모리에 지정해주는 작업이다. - 같은 논리로 PL/SQL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를 선언하고 데이터타입을 특정 테이블의 1개 ROW와 동일한 크기로 지정해서 그 곳에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C언어의 구조체.. 더보기
PL/SQL (13) - 커서(cursor) 1. 커서란... - 일반적으로 커서는 모니터에 해당 위치를 알려주고 그곳에 입력을 대기중이라고 깜빡거리는 것을 나타낸다. - 메모장을 켜보면 깜빡거리는 것. 그게 커서이다. - 같은 맥락으로 PL/SQL에서 커서는 메모리상에 SQL문이 실행되는 위치를 가리킨다. - 커서를 통해, 메모리에 존재하는 SQL문 실행결과를 바로 접근하여 fetch 할 수 있다. 메모리영역이라 함은 private SQL영역으로 SQL문 실행 및 처리결과를 저장하는 곳이다. - 이 때 커서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row를 가리키게 된다. - 실행결과를 1개 row씩 처리하다가 마지막까지 처리가 끝나면 커서를 닫는다. - 많은 row를 처리하기 위해 명시적 커서를 선언하고 제어한다. 2. 종류 (1) 암시적커서 (Implicit C.. 더보기